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5)
14-1:Network Layer:Link Layer Link layer, LAN 링크계층에서 동작하는서비스들에 대해 알아본다. 여기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들에는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해주는 것이 있다. 링크계층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Point to Point- 포인트 채널, 브로드 캐스트 체널이 있다. 브로드캐스트채널을 하나의 채널을 공유를하는데 이때 어떻게 동시접속을 관리할 것인지 이런 것도 링크계층에서 제공하는서비스이고, 링크 계층에서는 주소를 어떻게 찾아가는지 이더넷과 몇가지 관련된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Introduction 링크 계층이 하는 역할은 하나의 노드에서 바로 인접해 있는 다른 노드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빨간색 선들이 다 링크를 나타내고, 링크는 결국에 이렇게 인접해 있는 것들 사이에 데이터그램전송을 책임지는 역할..
13-2:Network Layer: control plane SDN control plane SDN에 대해서는 앞에서도 다뤘듯이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약자이고 전통적으로 네트워크 계층은 분산적으로 라우팅을 처리를 했었다. 라우터별로 기본적으로 라우터마다 라우팅 알고리즘이 동작하고 라우터들끼리 통신해서 전체적인 라우팅을 처리하도록 만들어졌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라우터가 하드웨어랑 위에서 특별한 하드웨어가 존재하고 라우터에서 돌아가는 특정 OS가 있었다. 시스코라는 스위치 만드는 회사에서는 시스코 전용 OS를 만들어 사용했고, 그 위해서 지원하는 몇가지 프로토콜들을 위에서 일종의 소프트웨어를 올려서 같이 판매를 했다. 라우터 하나에 하드웨어뿐 아니라os 소프트웨어까지도 포함되어 판매가 되었었다. 이상황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새로운 기능..
13-1:Network Layer: control plane Intra-AS routing: OSPF 실제 라우팅에서는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는지 보자 앞에서 배웠던 라우팅 알고리즘은 이상적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모든 라우터가 동일한 상황이고 네트워크도 계층화 되어있는 구조가 아닌 플랫한 구조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런식으로 생기지 않았다. 실제로 라우터들도 굉장히 많고, 목적지로 포워딩을 하는데 도착지들에 대해선 모든 정보를 갖고 있어야 했다. 어떤 인터페이스를 골라야하는지 포워딩 테이블에 저장이 되어 있어야 했다. 그런데 물리적으로 그런 것이 불가능한 것은 인터넷 상에는 굉장히 많은 ip 가 있고 그 모든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모두 저장을 할수가 없는 것이 문제이다. 그리고 라우팅 테이 블, 디스턴스 벡터에 정보나 다익..
12-2:Network Layer: control plane Network layer control plane 어떤 역할을하는지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실제구현 체제에대해 - introduction - routing protocols - link state - distance vector - intra-ISP routing: OSPF - routing among ISPs: BGP distance vector알고리즘은 Bellman-Ford(BF) 식에서 나온 것이며 다이나믹 프로그래밍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보면 Dx(y)라는 것이 있으면 x에서부터 y까지의 최소비용 경로에 대한 코스트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 최소비용을 계산하려면 x와 연결되어 있는 여러가지 이웃들이 있을 것이다. 어떤식으로든 그것들과 연결이 되어, y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12-1:Network Layer: control plane Network layer control plane 어떤 역할을하는지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실제구현 체제에대해 - introduction - routing protocols - link state - distance vector - intra-ISP routing: OSPF - routing among ISPs: BGP Introduction 네트워크 계층에 중요한 기능 2가지는 포워딩과 라우팅이다. 포워딩은 한 라우터의 인풋에들어왔을 때 적절한 아웃풋으로 패킷을 전달해주는 역할 이 포워딩을 하는게 데이터 플레인 라우팅은 소스 데스티네이션가지 어떤 페킷을 전달하려고 하는데 어떤 경로를통해서 패킷을 전달할지 이런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라우팅 그리고 이라우팅은 컨트롤 플레인에서 한다. 네트워크 컨트롤 플레..
11-2:Network Layer: Generalized Forwarding Network Layer: SDN 지금가지는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하는 포워딩 방식에 대해서 다뤄봤는데, 그것 말도고 generalized forwarding 은 어떻게 동작하고, 소프트웨어적 네트워크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앞에서 살펴본 포워딩 방식을 목적지 IP 주소만 보고 포워딩 테이블에 맞춰 포워딩을 했다면 이 일반적인 포워딩은 이 IP 주소뿐아니라 헤더에 있는 다른 필드들을 가지고 어떤 액션을 할지를 결정한다. 그럼 이런 액션에 무슨 종류가 있냐면, 몇가지 대표적인것은 어떤 조건에 해당하는 애는 드랍 시킬수도 있고, 카피 시킬 수도 있고, 헤더의 특정 부분을 바꿔치기할 수있고, 패킷을 로깅하는 등의 액션을 취할 수 있다. Flow table 플로우 테이블이라는 것은 라우팅 테이블과 비슷한데..
11-1:Network Layer: IP: the internet protocol IP: the internet protocol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 IPv6 이제 살펴볼 위 두가지 기술 NAT, IPv6는 IPv4가 지금 부족한 상황에서 나온 솔루션 기술들이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v4는 총 32개의 비트로 주소를 표현할 수 있었고, 이는 2^32로 약 40억개정도의 IP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근데 인구수와 디바이스 개수를 고려해보면 아이피 주소가 부족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의 기술이 NAT이다. NAT는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장치들을 하나의 IP 주소를 공유한다. 그래서 로컬 네트워크가 존재한다고 하고, 이를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라고 생각해보자. 이 로컬 네트워크..
10-1:Network Layer: Data Plane Network Layer:overview - data plane 데이터 평면 - control plane 제어 평면 라우터 내부에는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지 IP 프로토콜 SND, 포워딩 미들 박스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전달된 세그먼트를 받아서 받는 쪽으로 보냄 보내는 쪽에서는: 세그먼트에 네트워크 헤드 더해서 데이터그램으로 만들고 링크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 받는 쪽에서는 : 데이터그램에서 헤더읽고 처리후 세그먼트 빼내기, 그리고 트랜스포트계층으로 전달 네트워크계층은 중간에 라우터들에서도 존재한다. 이더넷 스위치(ethernet switch) 상호작용 -> 전체적인 포워딩 테이블 업데이트 --> 라우팅 --> control plane 포워딩 테이블 --> 데이터그램 헤더 확인 -> 각 데이터에 맞는 라우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