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덱(Deque)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
- push_front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
- push_back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
- pop_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pop_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덱이 비어있으면 1을,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전체 코드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const fs = require("fs"); | |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 |
class Deque { | |
constructor() { | |
this._arr = []; | |
} | |
push_front(data) { | |
this._arr.unshift(data); | |
} | |
push_back(data) { | |
this._arr.push(data); | |
} | |
size() { | |
return this._arr.length; | |
} | |
pop_front() { | |
return this.size() === 0 ? -1 : this._arr.shift(); | |
} | |
pop_back() { | |
return this.size() === 0 ? -1 : this._arr.pop(); | |
} | |
empty() { | |
return this.size() === 0 ? 1 : 0; | |
} | |
front() { | |
return this.size() === 0 ? -1 : this._arr[0]; | |
} | |
back() { | |
return this.size() === 0 ? -1 : this._arr[this.size() - 1]; | |
} | |
} | |
const deque = new Deque(); | |
let result = []; | |
for (let i = 1; i <= parseInt(input[0]); i++) { | |
let s = input[i].split(" "); | |
switch (s[0]) { | |
case "push_back": | |
deque.push_back(parseInt(s[1])); | |
break; | |
case "push_front": | |
deque.push_front(parseInt(s[1])); | |
break; | |
case "pop_front": | |
result.push(deque.pop_front()); | |
break; | |
case "pop_back": | |
result.push(deque.pop_back()); | |
break; | |
case "size": | |
result.push(deque.size()); | |
break; | |
case "empty": | |
result.push(deque.empty()); | |
break; | |
case "front": | |
result.push(deque.front()); | |
break; | |
case "back": | |
result.push(deque.back()); | |
} | |
} | |
console.log(result.join("\n")); |
반응형
'개발👩💻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js 10799: 쇠막대기 (0) | 2021.05.03 |
---|---|
백준 js 17413: 문자열 뒤집기 2 (0) | 2021.05.02 |
백준 js 1158: 요세푸스 문제 (0) | 2021.05.01 |
백준 js 10845: 큐 (0) | 2021.04.30 |
백준 js 1406: 에디터 (0) | 202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