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네트워크

(12)
11-1:Network Layer: IP: the internet protocol IP: the internet protocol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 IPv6 이제 살펴볼 위 두가지 기술 NAT, IPv6는 IPv4가 지금 부족한 상황에서 나온 솔루션 기술들이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v4는 총 32개의 비트로 주소를 표현할 수 있었고, 이는 2^32로 약 40억개정도의 IP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근데 인구수와 디바이스 개수를 고려해보면 아이피 주소가 부족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의 기술이 NAT이다. NAT는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장치들을 하나의 IP 주소를 공유한다. 그래서 로컬 네트워크가 존재한다고 하고, 이를 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라고 생각해보자. 이 로컬 네트워크..
10-1:Network Layer: Data Plane Network Layer:overview - data plane 데이터 평면 - control plane 제어 평면 라우터 내부에는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지 IP 프로토콜 SND, 포워딩 미들 박스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전달된 세그먼트를 받아서 받는 쪽으로 보냄 보내는 쪽에서는: 세그먼트에 네트워크 헤드 더해서 데이터그램으로 만들고 링크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 받는 쪽에서는 : 데이터그램에서 헤더읽고 처리후 세그먼트 빼내기, 그리고 트랜스포트계층으로 전달 네트워크계층은 중간에 라우터들에서도 존재한다. 이더넷 스위치(ethernet switch) 상호작용 -> 전체적인 포워딩 테이블 업데이트 --> 라우팅 --> control plane 포워딩 테이블 --> 데이터그램 헤더 확인 -> 각 데이터에 맞는 라우터..
9-2: TCP Congestion Control TCP Congestion Control 방법 1️⃣ AIMD (구버전) : 톱니바퀴 timeout, new ACK 이벤트 발생 시 변하는 상태 slow start, congestion avoid, fast recovery AIMD 방식 TCP 버전 TCP Tahoe (구버전) TCP Reno (신버전) 2️⃣ CUBIC (신버전) : 3차 함수 1️⃣ AIMD (구버전) : 톱니바퀴 접근 방식: congestion 발생해서 패킷 로스가 발생할 때까지 보내는 쪽 속도 계속 증가시켜가다가, 패킷 로스가 발생하면 줄여가는 방식 이름에서 나와 있다 싶이 증가시킬 땐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감소시킬 땐 빠르게 증가시킨다. 이 형태는 증가할 땐 + 로 증가, 감소할 땐 * 로 감소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점진적으로 ..
9-1:Principles of Congestion Control congestion control이 왜 필요하냐면 큐잉 딜레이 패킷 로스 위 두가지가 congestion 유발 라우터에 교환을 위한 버퍼가 있는데, 이 버퍼는 항상 유한한 크기를 가니다. 그리고 앞에서 배웠던 것 처럼 큐잉 딜레이는 트래픽 레이트가 1에 가까워질 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렇게 딜레이가 증가하면, 통신을 제대로 할 수가 없으니 congestion control 이 필요한 것이고, 버퍼가 가득 차면, 패킷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congestion control이 필요한다. 여기서 이제 앞으로 나오는 주요 용어는 1) congestion control 2) throughput (처리량) 3) capacity (라우터와 호스트 사이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양) 4) λin, λo..